자재재고관리종합

교육일정 | |
---|---|
교육시간 | 4일, 28시간 / 1일차: 09:30~17:30, 2일차: 09:30~17:30, 3일차: 09:30~17:30, 4일차: 09:30~17:30 |
교육장소 | 센트하임프라자 2층 천안 202호 |
고용보험 | 고용보험 비환급 ? |
교육비
|
정상가 840,000 원 KPC 유료법인회원 760,000 원 |
교육문의 | 천안사무소 (041)584-5892 / Fax (041)584-5892 |
교육시간
1일차: 09:30~17:30, 2일차: 09:30~17:30, 3일차: 09:30~17:30, 4일차: 09:30~17:30
교육목적/특징
<교육생 실제 수강 후기>
■ 교육 내용이 회사의 시스템과 통하는 부분이 많아 적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다.
■ 회사에서 어떻게 효율적으로 재고 관리를 해야 할 지 생각해 보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 재고관리기법, 창고운영, SCM 관리 전반, 안전재고 등 폭 넓게 배울 수 있었다.
교육대상
■ 자재재고 및 구매, 물류, 창고 관리 실무담당자 및 관리 책임자
■ 총무부서의 자산관리, MRO자재, 공기구, 비품, A/S용 자재, 예비품 관리담당자 및 책임자
■ 영업, 개발, 생산부서의 자재관련 업무담당자 및 책임자
교육내용
일자 | 내용 | |
---|---|---|
1일차 |
오전
| Ⅰ. 경영에서의 자재 부문 역할과 선진화 전략 - 경영 환경의 변화에 따른 제조업의 과제와 재고관리의 변화 방향 - 자재관리 프로세스 혁신 방법과 정보시스템(ERP)의 활용 - SCM과 재고관리에 대한 이해 및 SCM 역량 고도화 방안 |
오후
| Ⅱ. 재고에 대한 이해 및 과제 - 다양한 재고 개념, 비용/원가와의 관계, 시간 관점에서의 재고관리 방안 이해 - 재고의 문제 원인 확인 및 해결 방안 - 독립 수요 및 종속 수요와 기준정보, ERP의 발전과정과 재고관리에서의 활용 - 재고관리 기법 및 수요예측 정확도 향상 방안과 사례 확인 | |
2일차 |
오전
| Ⅲ. 재고관리를 위한 기준정보 이해 및 표준화 - BOM 구성 방안과 자재관리를 위한 다양한 응용 |
오후
| Ⅳ. 적정재고를 위한 재고관리 방법의 전환 - 적정재고에 대한 이해 및 변동성 최소화 방안 - 자재계획을 위한 선결과제 - 자재
계획을 위한 전사 관점에서의 변동성 최소화 방안과 최적 발주 방침의 설정 - L/T 단축 및 재고 정확도 향상을 위한 수불관리와 재고 감축 방안 - 자재계획 수립을 위한 사전 과제, 계획 수립 절차, 사후 과제 - 설비유지관리를
위한 MRO 자재의
변동성 관리 방안 | |
3일차 |
오전
| Ⅴ. 재고관리 모형의 이해와 우수 사례연구 - ABC 분석을 통한 적정재고의 유지방안 - 운영수준, 안전수준 및 조달소요시간의 산정 - 저장목표, 청구목표 및 재발주점의 산정 - 경제적 발주량(EOQ), 정기/정량 발주모델의 이해 |
오후
| Ⅵ. 재고관리의 실행을 위한 프로세스 이해 및 선진사례연구 - 재고관리 기본 프로세스 - 수불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와 사례 - 실행단계 재고관리 선진사례 벤치마킹 | |
4일차 |
오전
| Ⅶ. 재고관리 실행을 위한 실무운영 포인트 - 입출고 수불업무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 - 재무적인 관점에서의 재고의 역할과 운영 - 재고분석 방법과 사례 |
오후
| Ⅸ. 창고관리 및 재고조사 - 창고의 설계 및 운영 - 재고보관 및 피킹 - 효율적인 저장위치 운영 및 물류 흐름 관리 - 재고조사 및 부진재고 처리 |
수강후기
2024-09-26
2024-09-26
2024-06-20
2024-06-20
2024-06-20
연관 자격
자격증명 | 자격증관련링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