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산성본부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닫기

교육

지수

자격인증

접기/펴기

제조현장 생산원가 이해

교육상세 옵션정보
교육일정
 
교육시간 2일, 14시간 / 1일차: 09:30~17:30, 2일차: 09:30~17:30
교육장소 충북테크노파크 선도기업관 1층 106호
고용보험 고용보험 비환급 ?
교육비
정상가 540,000 원 KPC 유료법인회원 490,000 원
교육문의 충북사무소 (043)241-6616 / FAX (043)241-6617

교육시간

1일차: 09:30~17:30, 2일차: 09:30~17:30




교육목적/특징


* 온앤오프 과정은 서울에서 운영되는 회차에만 온라인 수강이 가능합니다.

* 온앤오프 과정은 신청자 수요에 따라 전면 대면 혹은 전면 비대면 교육으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행 여부는 교육 신청 시 개별 안내드리고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교육대상

- 생산(원가)관리ㆍ생산기획 및 스케줄러
- 생산 및 원가혁신 담당자
- 공정관리 및 개선 부문 담당 관리자 및 실무자




교육내용

일자별 교육내용을 나타낸 표입니다.

일자

내용

1일차

I. 제조기업 관리 시스템의 변화

   1. 제조기업 경영자의 고민 (과거부터 현재까지 해결이 안 되는 기업 최대 고민)

   2. 고객중심 제조기업의 관리 방식

   3. 스마트 공장 구축을 위한 사전 준비 사항

   4. 제조현장 원가관리의 한계를 돌파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5. 조직별 생산성 데이터 측정.관리를 위한 최적 방안

   6. 정확한 제조원가관리를 위한 원가기획 활동

   7. 표준원가관리는 왜 필요하며, 필수 고려사항은 무엇인가?

 

II. 제조원가의 기본 특성

   1. 기업은 왜 원가를 정확히 확인하지 못하는가?

   2. 원가 일치 프로그램(Cost Sync. Program)이 필요하다!

   3. 정확한 제조원가관리를 위한 전사적 자원 활용 (생산·원가·회계 정보)

   4. (제조)원가의 기본 구조

2일차

III. 생산제품 단위 기준, 원가 요소별 분석 관리

   1. 제조원가관리 담당자가 꼭 알아야 할 재무제표 (제조원가명세서, 손익계산서 등)

   2. 표준원가관리체계(코스트 테이블) 관리

   3. 요소별 제조원가 산출 및 표준화 방법

      - 표준작업시간 산정 방법

      - 공법별 재료비 계산 방법

      - 노무비 계산 및 임률 산정 방법

      - 제조경비 계산 및 경비율 산정 방법

   4. 원가관리 표준화를 위한 생산정보 관리

      - 공정개선(생산성향상 등) 효과 측정 방법

   5. 생산 시설 투자비 수익성 분석 방법과 손익분기점(BEP) 분석 실습

 

Ⅳ. 제조현장 원가혁신 방법과 우수 사례 연구

   1. 국내 산업에서 진행중인 최신 원가혁신 방법론

   2. 원가혁신 방법론 추진 이슈와 사례

   3. [워크숍]생산현장 원가 관리 노하우 공유 및 피드백

수강후기

ch****

2025-04-18

전문적으로 전달해 주시려고 한다는 느낌을받았습니다
ha****

2025-04-18

표준원가계산서를 정립해야하는 이유, 정립하기 위한 원가 구성사항의 기본 내용에 대해 열정적으로 강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ha****

2025-04-18

생산담당자로서 원가체계에 대해 상세히 알 수 있었고, 담당자로서 원가를 분석하고 표준원가계산서를 만들기 위해서 강의를 들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ki****

2025-04-18

현장의 경험을 살려 교육해주셔서 실무에 더 도움이 되는것같다
pk****

2024-11-20

여태 들은 사외교육 중 제일 도움이 되는 교육이었으며 실제 업무에 활용 가능하고 매우 만족합니다.

연관 자격

자격증명 자격증관련링크

제조현장 생산원가 이해

2025-06-16~2025-06-17

한국생산성본부

슬기로운 직장생활을 위한 한국생산성본부 교육과정 상세 안내

과정명 : 제조현장 생산원가 이해

교육일정 2025-06-16 ~ 2025-06-17 교육시간 09:30 : 17:30 교육장소 충북테크노파크 선도기업관 1층 106호
교육비 지원 고용보험 비환급 담당자 충북사무소 (043)241-6616 / FAX (043)241-6617

교육비

정상가 KPC회원(일반,특별)
540,000원 540,000원 490,000원

※ 2일이하 과정은 산업인력공단 실시신고 등록마감으로 인해 훈련 개시 1일전(근무일기준) 18:00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

상세안내

교육시간

1일차: 09:30~17:30, 2일차: 09:30~17:30

교육목적/특징


* 온앤오프 과정은 서울에서 운영되는 회차에만 온라인 수강이 가능합니다.

* 온앤오프 과정은 신청자 수요에 따라 전면 대면 혹은 전면 비대면 교육으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행 여부는 교육 신청 시 개별 안내드리고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교육대상

- 생산(원가)관리ㆍ생산기획 및 스케줄러
- 생산 및 원가혁신 담당자
- 공정관리 및 개선 부문 담당 관리자 및 실무자

교육내용

일자별 교육내용을 나타낸 표입니다.

일자

내용

1일차

I. 제조기업 관리 시스템의 변화

   1. 제조기업 경영자의 고민 (과거부터 현재까지 해결이 안 되는 기업 최대 고민)

   2. 고객중심 제조기업의 관리 방식

   3. 스마트 공장 구축을 위한 사전 준비 사항

   4. 제조현장 원가관리의 한계를 돌파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5. 조직별 생산성 데이터 측정.관리를 위한 최적 방안

   6. 정확한 제조원가관리를 위한 원가기획 활동

   7. 표준원가관리는 왜 필요하며, 필수 고려사항은 무엇인가?

 

II. 제조원가의 기본 특성

   1. 기업은 왜 원가를 정확히 확인하지 못하는가?

   2. 원가 일치 프로그램(Cost Sync. Program)이 필요하다!

   3. 정확한 제조원가관리를 위한 전사적 자원 활용 (생산·원가·회계 정보)

   4. (제조)원가의 기본 구조

2일차

III. 생산제품 단위 기준, 원가 요소별 분석 관리

   1. 제조원가관리 담당자가 꼭 알아야 할 재무제표 (제조원가명세서, 손익계산서 등)

   2. 표준원가관리체계(코스트 테이블) 관리

   3. 요소별 제조원가 산출 및 표준화 방법

      - 표준작업시간 산정 방법

      - 공법별 재료비 계산 방법

      - 노무비 계산 및 임률 산정 방법

      - 제조경비 계산 및 경비율 산정 방법

   4. 원가관리 표준화를 위한 생산정보 관리

      - 공정개선(생산성향상 등) 효과 측정 방법

   5. 생산 시설 투자비 수익성 분석 방법과 손익분기점(BEP) 분석 실습

 

Ⅳ. 제조현장 원가혁신 방법과 우수 사례 연구

   1. 국내 산업에서 진행중인 최신 원가혁신 방법론

   2. 원가혁신 방법론 추진 이슈와 사례

   3. [워크숍]생산현장 원가 관리 노하우 공유 및 피드백

한국생산성본부

우) 03170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5가길 32 생산성빌딩
Copyright ⓒ Korea Productivity Cent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