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과정은 인적자원관리의 새로운 이론과 실무기법 및 우수기업 사례연구 등을 통하여 기업의 인력관리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이오니, 귀사 실무진분들의 적극적인 참여 부탁드립니다.
* 교육일시 : 2006년 3월 23일(목) - 6월 8일(목)【12일, 총 96시간】
* 교육장소: 한국생산성본부 강의실(세종로종합청사 뒤편)
* 참가대상: 인사 기획 총무담당 부서장 및 실무자
(인적자원관리사 자격증이 필요한 개인)
<교육목적 및 특징>
● 조직이 필요로 하는 인력을 확보,개발, 보상, 유지해 나갈 수 있는
인사관리 전문요원의 양성
● 인적자원관리의 신 이론과 실무기법 및 우수기업 사례연구 등을 통하
여 기업이 당면한 인사관리 현안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실무적용
중심의 교육중심으로 특히, 국내 최초․최고의 교육 및 컨설팅기관으
로서 50여년 동안 축적해 온 경험과 노하우를 집약
- 각 주제별로 해당 실무에 뛰어난 분들로 강사진을 구성
- 인적자원관리사로서 필수적으로 숙지해야 할 내용을 토대로 실무중
심으로 교과과정을 편성
<수료기준>
● 총 교육일수의 80%이상 출석
<인적자원관리사자격증 수여>
● 응시 자격 : 과정을 수료한 자
● 시험일 : 2006년 6월15일(목) 14:00-18:00
● 자격시험 합격 기준 : 60점 이상(100점 기준)
☞ 과제물(40%) : 인적자원관리 관련 특정테마 사례연구 보고서 작성
☞ 시 험(60%) : 객관식 및 서술형 평가시험
=====================================================================
*교육 프로그램*
<인적자원 핵심관리>
1) 인사관리전략 및 인사평가관리
1. HRM Paradigm의 변화
2. 한국기업의 환경변화와 인적자원관리 혁신과제
3. 인적자원관리 Issue
4. 인적자원관리시스템 구축의 고려요인
5. 인적자원관리의 방향
2) 직무분석실무
1. 직무분석의 정의, 목적 및 절차
2. 직무기술서 / 직무명세서 작성방법
3. 직무분류 및 표준직무기술서 작성
4. 직무분석 사례연구(CASE STUDY)
- 직무분석 시작과 마무리, 보고서 작성의 사례연구 -
<인적자원 확보 및 고과관리>
1) 인력계획 수립 및 운용
1. 전략적 인력계획의 중요성
2. 인력소요계획 수립모형 및 과정
- 거시적 소요인원 산정방법
- 미시적 소요인원 산정방법
- 거시적 및 미시적 접근법의 조정
3. 인력수요 및 공급의 예측기법
4. 인력개발 방법
- MACRO적 인력산정 - 상관회귀분석법
- 손익분기점분석법 - 부가가치분석법
- MICRO적 인력산정 - W/S법
- 직무분석법 - PAS법
- 업적평가(PM)중심 인력산정
2) 인사고과실무
1. 인사고과의 목적 및 종류
2. 인사고과의 기준 및 평가항목
3. 인사고과 실시절차
4. 인사고과제도 설계 시 고려요인
5. 인사고과 사례 분석
3) 고과자훈련 Workshop
1. 고과자 훈련 개요 2. 사례(SCENARIO)제시
3. 모의인사고과 실시 4. 팀별 토의 및 의견종합
4) 인사기획 실무종합
1 채용의 기초
2. 채용의 절차
3. 효과적 채용을 위한 기본 여건
- 채용의뢰서 / 채용전략
4. 이력서 선별에서 입사확정 까지
- 이력서 점검 - 탈락자 피드백
- 역량 기반의 인터뷰 - 내부 충원
5. 확정에서 오리엔테이션
<인적자원 개발 및 유지관리>
1) 경영환경 변화와 리더의 역할
1. Biz환경 변화와 인사전략
2. HR부문의 전략적 Issue 탐색
3. HR부문의 역할 및 자질
4. 환경변화와 리더의 역할
2) High Performance Team (HPT)
1. 팀제의 의의 및 성공요건
2. High Performance Team의 조건
3. 팀 역량 자기진단.피드백
4. 팀 리더십의 발휘
5. 팀 빌딩(Team Building)
3) 교육훈련
1. 교육훈련체계 수립 2. 교육니즈 분석
3. 교육프로그램 개발 4. 교육효과의 측정과 평가
4) 인적자원 아웃소싱(Outsourcing)전략
1. 디지털경영 성공요인으로서의 아웃소싱전략
2. 인사부서 혁신을 위한 아웃소싱전략의 도입
3. 핵심역량의 이해
4. HR Outsourcing의 범위 및 실무 프로세스
5) 임원인사관리
1. 임원인사의 중요성
2. 직원인사와의 차별성
3. 문제점 및 대응방안
6) 인사관리 법률문제 종합
1. 채용과 관련한 법률문제
2. 임금과 관련한 법률문제
3. 인사이동 및 고과와 관련한 법률문제
4. 퇴직, 주5일제 관련한 법률문제
<보상 및 임금/성과관리>
1) 임금관리 종합
1. 임금관리의 기본원칙
2. 임금체계의 요소와 유형
3. 임금조정절차 및 방법
4. 임금관리 패러다임 정립(연공급/직능급/직무급)
5. 적정인상률 산정기법 - 임금수준관리
6. 인센티브 결정방식
2) 성과관리시스템과 BSC 구축실무
1. 성과관리-PMS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의 이해
2. PMS의 구축방법
3. BSC평가시스템 구축방법
4. 성과관리의 성공요소
3) 업적 및 평가사례 연구
1. Performance(업적) 평가방법 2. CSF / KPI 도출방법
3. Competency modeling 평가 4. 평가사례연구
*교육문의 : 02-724-1104 김동산 연구원 담당